반응형
---- 01 ----
입력한 정수에 대해 홀 or 짝 판단하기
ex)
정수 입력 : 8 >> 결과 : 짝수
정수 입력 : 9 >> 결과 : 홀수
--활용--
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
Console.Write("정수입력 : "); # 정수입력 : 이라는 문자가 띄워짐
int a, b ; # 정수 변수 a 와 b를 만듬
a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 # a의 값을 사용자에게 입력 받도록 만듬
b = a % 2; # b는 a 가 2로 나눴을때 나머지
if (b == 0) # 만약 b가 0이면
{
Console.WriteLine("짝수"); # 짝수이고
}
else # 아니면 즉, 나머지가 생기면
{
Console.WriteLine("홀수"); # 홀수이다
}
---- 02 ----
정수 2 개를 입력 받아 해당 데이터를 교환하기
단, 단순히 출력 순서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변수에 있는 데이터가 서로 교환되어야한다
ex)
정수 (2 개) 입력 : 5 10
=====> 교환 전 <=====
5, 10
=====> 교환 후 <=====
10, 5
밑에있는 코드 사용할것
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
int a, b ; # 정수 변수 a 와 b를 만듬
a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 # a의 값을 사용자에게 입력 받도록 만듬
b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 # b의 값을 사용자에게 입력 받도록 만듬
Console.WriteLine(" 교환 전 ");
Console.Write(a);
Console.Write(",");
Console.Write(b);
Console.WriteLine();
int c ; # 정수 변수 c를 만듬 # ex) a=3, b=6, c= x
c = b ; # c의 값은 b와 같아지고 # a=3, b=6, c=6
b = a ; # b의 값은 a와 같아지고 # a=3, b=3, c=6
a = c ; # a의 값은 c와 같아진다 # a=6, b=3, c=6
Console.WriteLine(" 교환 후 ");
Console.Write(a);
Console.Write(",");
Console.Write(b);
Console.WriteLine();
---- 03 ----
점수를 입력 받아 해당 점수에 해당하는 학점 출력하기
(단, 1 자리 수에 따라 -, 0, + 출력)
-, 0, + 점수 범위
- 0 ~ 3 : -
- 4 ~ 6 :
- 7 ~ 9 : +
- 100점은 알파벳 표시만
ex)
점수 입력 : 63 결과 : D
점수 입력 : 100 결과 : A
--활용--
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
Console.Write("점수 입력 : ");
int a = int.Parse(Console.ReadLine());
Console.Write("너의 학점은 ");
if (a >= 100)
{
Console.Write("A");
}
else
{
if (a >= 90)
{
Console.Write("B");
}
else if (a >= 80)
{
Console.Write("C");
}
else if (a >= 70)
{
Console.Write("D");
}
else
{
Console.Write("F");
}
//a를 10으로 나누었을때
//나머지의 값이 7보다 크면 무언가를 실행해라
if (a % 10 >= 7)
{
Console.Write("+");
}
else if (a % 10 <= 4)
{
Console.Write("");
}
else
{
Console.Write("-");
}
}
반응형
'언어 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산자 (2) | 2023.01.07 |
---|---|
변수 & 상수 (0) | 2023.01.03 |
C# 자료형 (0) | 2023.01.03 |
Visual Studio 기본설정 & 폴더 생성 | 작은 팁 (0) | 2023.01.03 |